오월의 바람에 기대어 오랜만에 안부전해요.
잘 지내고 있죠?
햇살과 바람만으로도 너무나 충만한 계절, 오월.
걸치고 있는 것들 훌러덩 벗어던지고 서 있으면
사르르 녹아버려 한줌 햇살이 될 것만 같아요.
산길을 걷노라면 숲속 나무들이 자꾸만 주술을 걸어와요.
아무것도 걸치지 말고 우리 사이에 들어와 손잡고 서 있자고.
언젠가 못이기는 척 그 유혹에 넘어갈지도 몰라요.
상상만 해도 참 민망하네요.
올해는 젊은 이웃들이 많이 생겼답니다.
아이들이 자꾸만 줄어드는 바람에 마을주민들이 대책을 강구했지요.
주민들의 요구에 군에서 초등학교 옆에 공동주택을 지어주었고 11가구가 들어왔어요.
학부모 동아리도 많이 생겼어요.
영어, 트레킹, 제로웨이스트, 요리 등등
제가 동아리를 세 개나 들었지 말입니다.
전 트레킹 동아리 반장이에요.
네 명의 마을 새내기 엄마들과 목요일 아침에 만나 세 시간정도 걸어요.
이맘때 걸으면 좋겠다 싶은 곳으로 제 맘 내키는 대로 안내해요.
괴산에 정착하기 전 화양계곡 파천에 다녀간 적이 있어요.
마리학교 교사로 있을 때 학생들 데리고 이곳에 캠핑을 왔지요
초여름 밤이었어요.
‘자연학습원’ 지도교사를 따라 아이들과 함께 계곡길을 걷다 반딧불이를 봤어요.
초록광선이 너울대던 그 밤을 오랫동안 간직하고 있지요
어둠속에서 듣던 계곡 물소리는 어찌나 차고 싱싱하던지.
삼십분 정도 걷다가 샛길을 따라 파천이란 곳으로 내려갔어요.
반질반질한 너럭바위가 달빛을 받아 뽀얗게 빛났지요.
부드럽고 따뜻한 바위의 감촉과 어둠을 가득채운 물소리.
그 기억이 선명해요.
‘이곳에 꼭 다시 와야지 .’
그때 했던 다짐이 너럭바위만큼이나 단단했나봐요.
제 일상의 산책로가 되었으니 말이에요.
가끔 파천에 올 때면 생각했어요.
반딧불이가 춤추는 초여름밤이 되면 이곳에 와야겠다고.
보름달 뜬 밤에
하늘거리는 하얀 원피스 입고
너럭바위에 서서 맨발로 춤을 추자고.
몸에 열이 오르면 원피스를 벗어버려야지.
알몸이 되어 저 바위에 몸을 뉘어야지.
한낮의 온기를 품은 바위는 날 은근하게 감싸주겠지?
이건 쫌 멋질 것 같지 않나요? ^^
아직까지 시도를 못했어요.
어쩌면 올여름에 가능할지도 모르겠어요.
마을트레킹 때 제 옆에서 걷던 H동생에게 이 말을 해줬거든요.
일주일 뒤에 함께 걷는데 이 동생이 저한테 그러는 거예요.
“언니 저 생각해 봤는데 파천에서 밤에 옷 벗고 춤추고 싶어요.”
“하하하” 빵 터졌지요.
밀양에서 살다가 2월에 이사 온 친구예요. 선유동 계곡을 걸을 땐 연신 감탄하더라구요.
우리나라 여러 지역을 다녀봤는데 이런 멋진 바위가 있는 계곡을 본 적이 없다고.
내심 과장이 지나치다 싶었는데 저도 모르게 그 익숙한 풍경을 다시 보게 되더라구요.
“언니 인도 다녀왔다고 했죠?
함피 가보셨어요? 거기 바위가 생각나요.”
아, 함피라니.
선유동 계곡을 걸으며 함피를 떠올리게 될 줄이야.
기억 저편에 봉인되었던 풍경이 보따리 풀리듯 활짝 펼쳐졌지 뭐예요.
마치 다른 행성에 온 것 같은 불가사의한 느낌의 그 곳.
온통 바위로 이루어진 기묘한 산.
제 블로그를 찾아보니 그곳에서 언니에게 쓴 편지글이 포스팅되어 있네요.
사진을 보다가 그 친구 말에 뒤늦게 고개가 끄덕여졌어요.
어쨌든 이번 여름엔 제 오랜 염원이 이루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 것을 들려주며 새로운 이웃과 함께 걷는 시간이 좋습니다.
한참을 걷고 나면 계곡물에 꼭 발을 담가요.
네발로 기면서 바위를 핥고 코를 킁킁대지요.
이 암석들은 언제부터 여기에 있었을까?
저 물은 언제부터 흐르기 시작했을까?
그 생각을 하면 마치 갈라파고스의 파충류가 된 것만 같아요.
눈부신 신록과 맑은 물,
바위가 주는 서늘한 감촉,
곁에 있는 사람들.
지금 이 순간을 생생하게 느껴봅니다.
햇살과 바람만으로도 너무나 충만한 계절, 오월.
걸치고 있는 것들 훌러덩 벗어던지고 서 있으면
사르르 녹아버려 한줌 햇살이 될 것만 같아요.
산길을 걷노라면 숲속 나무들이 자꾸만 주술을 걸어와요.
아무것도 걸치지 말고 우리 사이에 들어와 손잡고 서 있자고.
언젠가 못이기는 척 그 유혹에 넘어갈지도 몰라요.
상상만 해도 참 민망하네요.
올해는 젊은 이웃들이 많이 생겼답니다.
아이들이 자꾸만 줄어드는 바람에 마을주민들이 대책을 강구했지요.
주민들의 요구에 군에서 초등학교 옆에 공동주택을 지어주었고 11가구가 들어왔어요.
학부모 동아리도 많이 생겼어요.
영어, 트레킹, 제로웨이스트, 요리 등등
제가 동아리를 세 개나 들었지 말입니다.
전 트레킹 동아리 반장이에요.
네 명의 마을 새내기 엄마들과 목요일 아침에 만나 세 시간정도 걸어요.
이맘때 걸으면 좋겠다 싶은 곳으로 제 맘 내키는 대로 안내해요.
괴산에 정착하기 전 화양계곡 파천에 다녀간 적이 있어요.
마리학교 교사로 있을 때 학생들 데리고 이곳에 캠핑을 왔지요
초여름 밤이었어요.
‘자연학습원’ 지도교사를 따라 아이들과 함께 계곡길을 걷다 반딧불이를 봤어요.
초록광선이 너울대던 그 밤을 오랫동안 간직하고 있지요
어둠속에서 듣던 계곡 물소리는 어찌나 차고 싱싱하던지.
삼십분 정도 걷다가 샛길을 따라 파천이란 곳으로 내려갔어요.
반질반질한 너럭바위가 달빛을 받아 뽀얗게 빛났지요.
부드럽고 따뜻한 바위의 감촉과 어둠을 가득채운 물소리.
그 기억이 선명해요.
‘이곳에 꼭 다시 와야지 .’
그때 했던 다짐이 너럭바위만큼이나 단단했나봐요.
제 일상의 산책로가 되었으니 말이에요.
가끔 파천에 올 때면 생각했어요.
반딧불이가 춤추는 초여름밤이 되면 이곳에 와야겠다고.
보름달 뜬 밤에
하늘거리는 하얀 원피스 입고
너럭바위에 서서 맨발로 춤을 추자고.
몸에 열이 오르면 원피스를 벗어버려야지.
알몸이 되어 저 바위에 몸을 뉘어야지.
한낮의 온기를 품은 바위는 날 은근하게 감싸주겠지?
이건 쫌 멋질 것 같지 않나요? ^^
아직까지 시도를 못했어요.
어쩌면 올여름에 가능할지도 모르겠어요.
마을트레킹 때 제 옆에서 걷던 H동생에게 이 말을 해줬거든요.
일주일 뒤에 함께 걷는데 이 동생이 저한테 그러는 거예요.
“언니 저 생각해 봤는데 파천에서 밤에 옷 벗고 춤추고 싶어요.”
“하하하” 빵 터졌지요.
밀양에서 살다가 2월에 이사 온 친구예요. 선유동 계곡을 걸을 땐 연신 감탄하더라구요.
우리나라 여러 지역을 다녀봤는데 이런 멋진 바위가 있는 계곡을 본 적이 없다고.
내심 과장이 지나치다 싶었는데 저도 모르게 그 익숙한 풍경을 다시 보게 되더라구요.
“언니 인도 다녀왔다고 했죠?
함피 가보셨어요? 거기 바위가 생각나요.”
아, 함피라니.
선유동 계곡을 걸으며 함피를 떠올리게 될 줄이야.
기억 저편에 봉인되었던 풍경이 보따리 풀리듯 활짝 펼쳐졌지 뭐예요.
마치 다른 행성에 온 것 같은 불가사의한 느낌의 그 곳.
온통 바위로 이루어진 기묘한 산.
제 블로그를 찾아보니 그곳에서 언니에게 쓴 편지글이 포스팅되어 있네요.
사진을 보다가 그 친구 말에 뒤늦게 고개가 끄덕여졌어요.
어쨌든 이번 여름엔 제 오랜 염원이 이루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 것을 들려주며 새로운 이웃과 함께 걷는 시간이 좋습니다.
한참을 걷고 나면 계곡물에 꼭 발을 담가요.
네발로 기면서 바위를 핥고 코를 킁킁대지요.
이 암석들은 언제부터 여기에 있었을까?
저 물은 언제부터 흐르기 시작했을까?
그 생각을 하면 마치 갈라파고스의 파충류가 된 것만 같아요.
눈부신 신록과 맑은 물,
바위가 주는 서늘한 감촉,
곁에 있는 사람들.
지금 이 순간을 생생하게 느껴봅니다.
언젠가 우리의 긴긴 산책도 기대하며
괴산에서 동생 드림
괴산에서 동생 드림